top of page

[유네스코 보고서] AI 교사역량 프레임워크(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 Part 1

유네스코는 'AI 교사역량 프레임워크(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2024)' 보고서를 통해 교사들이 갖춰야 할 AI역량과 새롭게 요구되는 역할 등에 관한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UNESCO, 2024)
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UNESCO, 2024)

AI는 교사-학생 관계, 교수학습방법, 평가 등 교육 전반에서의 큰 변화를 빠른 속도로 가져오고 있습니다. 특히 이 보고서에서 유네스코는 AI 시대에 새롭게 요구되는 교사의 역할과 역량을 진단하고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교사들이 AI를 효율적이고 윤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 뿐 아니라, AI로 대체될 수 없는 교사의 권리를 보장하고, AI 사용을 통한 인간 주체성(human agency)을 강조하며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AI는 새로운 교육 컨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들어낼 뿐 아니라 새로운 형식의 교수학습방법과 관리, 교사의 업무 경감 등의 긍정적 기회를 만들어내지만 동시에 학습자, 교육 공동체, 교육 시스템 그리고 사회 전반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위험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의 주체성을 위협하고 데이터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 조직적 불평등과 배제의 심화, 새로운 형식의 차별 강화 등) 또한 교사들의 역할과 영향력을 감소시키고 학생들과의 관계를 약화시킬 위험도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사들은 여러 리스크를 잘 관리하고 AI를 윤리적이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를 위해 교사의 새로운 역량과 역할에 관한 국가 차원의 지원과 훈련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교사를 위한 AI 프레임워크나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한 국가는 7개국 뿐이라고 합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사용에 관해 '인간 중심적 접근(human-centred approach)'을 취해야 하며, 교사-학생의 유의미한 소통과 인간적 관계는 언제나 교육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교사는 기술로 대체될 수 없는 존재이며 AI시대에 교사의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사를 위한 AI 프레임워크의 핵심 원칙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포용적인 디지털 미래를 보장하기

- AI를 둘러싼 과장된 주장/기대를 바로잡을 것 (Debunking AI hype) : 결국 AI의 설계와 사용은 '사람'에 의한 것임을 인지하기. 따라서 교사는 AI의 잠재적인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파악하는 역량을 갖춰야 함.

- AI 설계에 내재된 위험성을 이해할 것: 현재의 알고리즘과 AI 모델은 인권과 프라이버시를 위협할 수 있음. 또한 AI가 생성하는 컨텐츠들은 토착 지식(indigenous knowledge), 문화와 언어의 다양성을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음.

- 인간 및 사회적 가치를 우선시할 것: (이윤 추구 기반의) 알고리즘은 개인들을 타인 및 실제 세계와 유리시킴으로 사회적 가치와 통합을 약화시킴. 공감, 이타심, 정의, 문화간 이해와 연대는 보편적 인간성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하기에 디지털 공간을 넘어선 인간관계는 지켜져야 함.

- 인간 역량 개발(human capacity development) 를 위한 AI: 적절한 교수학습 가이드 없는 AI 사용은 학습자들의 지적 발전에 해가될 수 있음. 교육에서 AI를 사용하는 것은 정보를 제공하고 정형화된 답을 얻기 위함이 아닌, 풍성한 탐구와 지적 발달과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두어야 함.

2. 인간 중심적 접근

교육에서의 인간 중심적 접근(human-centred approach to AI)은 AI 시스템에서의 모든 실천을 규제하고 안내하는 핵심 윤리 및 실천적 원칙들을 강조하는 접근을 말하며, 아래 네 가지 핵심 원칙들을 포함합니다.

1) AI의 설계와 사용은 인간 역량과 지속가능발전을 강화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2) AI의 접근과 사용은 평등하고 포용적이어야 한다.

3) AI모델은 설명가능해야 하고(explainable), 안전하고 해를 가하지 않아야 한다.

4) AI의 선택, 사용, 그리고 영향에 대한 모니터링은 반드시 인간에 의해 통제되고 인간의 책임하에 있어야 한다.

3. 교사의 권리와 역할

AI로 인해 급변하는 교육 환경 속에서 교사의 역할과 역량이 재정의되고 있습니다. 가르침과 배움, 평가 등 교육 전반에서 이전의 학생-교사의 관계는 학생-AI-교사의 삼각구조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교사들은  협력적 지식 생산자(collaborative knowledge producers)이자 AI 시대에서의 시민성을 이끄는 인도자 역할을 하도록 요구됩니다.

이 외에도 신뢰할 수 있고 또한 환경적으로 지속가능한 AI를 장려하는 것, 모든 교사들이 AI에 접근할 수 있고 디지털 혁신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교사들이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AI역량을 강화해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 등이 요구됩니다.

보고서에서 강조하듯 AI로 인해 매우 빠르게 변화는 교실과 학교, 교육 시스템 속에 우리는 이미 존재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이러한 변화를 가장 크게 경험하는 사람들은 교실 속 선생님들일지도 모릅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교사의 역할은 기존과 어떻게 달라져야 할지, 학습과 평가에 있어 학생들과의 관계를 어떻게 재정립되어야 하는지, 또한 어떤 역량을 강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더 많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런 필요성들이 선생님들을 위한 정책과 훈련 과정, 지원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고요.

본 보고서에서 제시하는 역량 프레임워크는 다음 글에서 소개하겠습니다!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