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유네스코 보고서] AI 교사역량 프레임워크(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 Part 2


(PART 1 글에서 이어집니다.)

유네스코의 'AI 교사역량 프레임워크(AI Competency Framework for Teachers, 2024)' 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워크의 구조 및 역량을 소개합니다.

  1. AI 교사역량 프레임워크의 구조

이 프레임워크는 교사들이 AI에 대한 이해와 활용 기술, 가치와 태도를 함양해 수업과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해나갈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역량(competency)''진행 수준(levels of progression)'의 두 개의 차원으로 설계된 이 프레임워크는 총 5개의 핵심 역량(인간 중심의 사고방식, AI 윤리, AI 기초 및 응용, AI 교수학습법, 교사 역량 개발을 위한 AI 활용)이 3단계의 진행 수준(기술 습득, 심화, 창조)에 따라 어떻게 개발될수 있는지 안내합니다.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AI 역량의 다섯 가지 측면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지지만, 동시에 서로 연결되고 보완하며 시너지를 내는 특성을 가집니다. 이 다섯 가지의 역량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인간 중심적 사고방식 (Human-centred mindset)

인간과 AI의 상호작용을 위한 태도와 가치를 함양하는 역량으로, AI의 개발과 활용에서 인간의 주체성과 권리를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한다. AI 도입이 학습자, 교사,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AI를 통해 보다 포용적이고 공정한 교육을 지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AI 윤리(Ethics of AI)

AI의 윤리적 원칙, 규정, 제도 등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하는 역량으로, AI의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편향, 차별, 프라이버시 침해 등)를 인식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다. AI를 활용할 때 설명가능성(Explainability), 투명성, 책임성을 준수할 것이 요구된다.

3) AI 기초 및 응용 (AI foundations & applications)

AI의 기본 원리(알고리즘, 데이터, 머신러닝 등)에 대한 개념적 이해와 전수가능한 기술. 교육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AI 응용 도구들을 파악하고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의미한다.

4) AI 교수학습법 (AI pedagogy)

효과적인 AI교수학습법 적용에 관한 역량으로, 교과 과정에 AI 관련 주제를 통합하고, 학생들이 AI를 비판적이고 창의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역량이다. AI 기반 도구를 수업 설계, 진행 및 평가에 적용한다.

5) 전문성 신장을 위한 AI (AI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AI도구를 활용하는 역량. AI를 통해 수업 혁신과과 협력적 네트워크를 강화한다.



이 다섯 가지 측면의 교사 AI 역량은 역량의 발달/진행 정도에 따라 세 가지의 수준으로 나눠집니다. 이 세 수준은 AI 도구를 평가하고, 선택하고 사용할 수 있는 역량, 즉 모든 교사가 교육에 AI를 적절하게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갖추는 수준인 '습득(Acquire)', AI를 접목해 의미있는 교수학습전략을 설계하는데 필요한 중간 수준의 '심화(Deepen)', 그리고 AI의 혁신적 사용과 AI시스템을 창조적으로 구조화하는 높은 수준의 역량인 '창조(Create)' 입니다. 그러나 역량의 발달 수준은 매우 복합적이고 맥락에 기반한 것이므로 위계적이거나 일방향적 구조로 볼 수는 없습니다. 다만, 이 레벨을 통해 교사의 AI역량 강화의 기준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아래는 다섯 가지 핵심역량 및 진행수준으로 구분된 AI 역량 프레임워크(AI competency framework) 입니다.


AI competency framework high-level structure (한글로 번역) - 원문 참고
AI competency framework high-level structure (한글로 번역) - 원문 참고

위 표는 제가 번역한 것이므로, 원문 표를 보시려면 보고서 22페이지(바로가기)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보고서에서 설명하듯 이 역량 프레임워크를 각 교사의 AI수준을 진단하는 척도로 보기보다는, 교사 AI 역량 강화를 위한 로드맵 등에 준거로 삼을 수 있는 자료로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AI도구를 이해하고 교육에 접목하는 것과 더불어, 교사들이 인간 중심적 마인드로 인간의 주체성과 책무성을 AI 활용에 있어 꼭 기억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 역시 중요할 것입니다. 또한 수업에 AI도구를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개별 교사의 전문성을 키워나가고, 나아가 교육 공동체의 전문성을 확장해나가는 방향으로 관점을 확장하는 것도 필요할 것입니다.

이 역량프레임워크를 참고로 하여 유네스코와 같은 전문 국제기구를 비롯해 정부, 교육기관, 학교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구체적인 교사 AI역량에 관한 지침과 방향성을 고민하며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댓글


bottom of page